top of page
검색

최종 수정일: 2020년 5월 4일

기업집단 내 상장회사의 주가는 기본적으로 해당 개별기업이 속한 업종 내 동종기업의 주가의 흐름과 유사하게 변동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. 하지만 기업집단 내 지배주주의 승계 등 event가 발생하는 경우 동종기업과 다른 양상이 나타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여 아래와 같이 자동 코드를 만들어 보았다.


1) 기업집단 내 주요 상장회사("target")와 동종&상장회사("comparison") 리스트 작성

2) 동종회사의 과거 3개년 일일 종가 크롤링

3) 동종회사 주가의 일일 성장률 계산

4) target이 포함된 동종업계의 일일 성장률의 군집분석(clustering, n=2) 수행

5) 전체 동종업계(target+comparison) 대비 target과 같은 군집에 속한 기업의 비율 산정

6) 매일의 해당 비율이 0.5이하인 횟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지 분석

일단 삼성전자가 포함된 삼성 기업집단을 샘플로 모델을 작성하였고, 해당 기업집단 중 눈에 띄는 회사를 대상으로 돌려보았는데 아직까지는 유의적인 흐름이 보이지 않았다. 나머지 상장회사도 돌려보고 특이한 흐름을 보이는 회사가 있다면 해당 회사가 기업집단 내에서 어떤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지 확인해보고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지 확인할 예정.

 
 
 
  • 작성자 사진: __init__
    __init__
  • 2020년 4월 28일
  • 1분 분량

우리나라 5대 기업집단의 지배구조 분석을 위해 아래의 사항에 대해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.


기업집단 지분도(기업가치, 보유지분가치 10억원 이상)

주요 주주의 집단 내 기업 보유 지분률

보유 지분률의 크기에 따라 지배력 가치 산정

기업집단 전체의 기업가치 합계 대비 주요주주의 지배력 가치 비중


위의 내용에 대해 여러 source의 데이터를 끌어와 자동화하여 기간에 따른 변화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.

 
 
 

여러 목적으로 기업분석을 수행하지만 하나의 기업만을 바라보고 분석을 하기엔 대기업의 기업가치는 해당 기업이 포함된 기업집단과 지배주주의 목적에 따라 크게 변동하곤 한다. 그래서 기업집단의 분석을 목적으로 파이썬을 이용하고자 하였고, 그 첫번째로 기업집단의 지분도와 해당 집단에 포함된 기업과 주주의 지분가치를 원의 크기로 표현하여 보았다. 먼저 살펴본 5대 기업집단의 지분도에서 알 수 있듯, 아직 지주회사로 전환하지 않은 삼성과 현대의 기업집단이 지분구조가 다소 복잡하고, 나머지 기업집단은 지주사를 중심으로 사업회사와 지주회사가 잘 정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.

추가적으로 기업집단 내 개별 회사의 기업가치 변화 추이와 이에 따른 지배주주의 지분가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향후 기업집단의 지배구조 변동을 예측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.

 
 
 

​# 파이썬을 이용한 재무 / 부동산 분석

© 2020 by 회계사의 파이썬. 

bottom of page